최고(성공)을 위해 나는... 정보
최고(성공)을 위해 나는...
본문
아웃 라이어는 보통사람의 범주를 넘어 뛰어난 성공을 거둔 사람을 뜻합니다.
세계적인 경영 사상가 말콤 글래드웰이라는 사람은 아웃라이어라는 책에서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에게는
'1만 시간의 법칙'이 적용된다고 주장한다고 하네요..
어떤 분야든 숙달되기위해서는 하루 3시간씩 10년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랍니다..
성공은 공짜가 아니다.!! 천재라도 소용없다!! 자신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하는일마다 되는일이 없다고요? 운이 나빠 실패를 밥먹듯이 한다고요??
좌절하기전에 스스로를 냉정하게 되볼아 보세요..
" 나는 과연 1만시간의 노력을 했는가" 라고...아래는 김연아의 동영상을 걸었습니다.
추천
0
0
댓글 4개

너무 몰아서 하고 있는건가...3시간정도씩 10년된거 같은데...넘은거 같은데..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았나보네요 ... 아니 열정과 끈기가 뒷받침되지 않은게 맞겠죠.
좋아하는일이여서 처음 뛰어들고, 좌절하면서 공백이 생기고.. 허나..현실이라는 벽에 부딪히고..
지금은 돈이라는 물질적인것에 노예가 되버린... 현실은 무섭네요.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았나보네요 ... 아니 열정과 끈기가 뒷받침되지 않은게 맞겠죠.
좋아하는일이여서 처음 뛰어들고, 좌절하면서 공백이 생기고.. 허나..현실이라는 벽에 부딪히고..
지금은 돈이라는 물질적인것에 노예가 되버린... 현실은 무섭네요.

제가 느낀 아웃라이어는 기회와 타이밍의 중요성, 문화적 유산이라고 하는 환경적 요인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부의 형성에 기인해 왔는가 하는 것입니다. 저자는 같은 시간 노력을 하더라도 이러한 요인으로 의해 성공과 실패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전하려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얘기를 써놓고 보니, 저도 한 업종에 1만시간 이상 했다면 한 것 같은데.. 그닥 상태가 안 좋은 것 같네요~ㅎㅎ 저 같은 분들이 아마 많을 것인데, 노력부족이라기 보다는 과다 공급이라는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 게 아닌가 위안을 해봅니다~^^

프리야님의 글을 보니.. 정말 그런거 같네요 ㅎㅎ... 과다 공급... 씁쓸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