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시어터 구성 기기
* 홈시어터을 구성하고
있는 기기들
홈시어터는 영상과 음향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영상을 담당하는 TV,
프로젝트가 있고, 음향을 담당하는 AV 앰프/리시버, DVD를 재생하는 DVD 플레이어, 그리고 우리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 스피커에도
센터 스피커, 메인 스피커, 리어 스피커, 서브 우퍼가
주종을 이룬다. 이것들 대략적인 홈시어터 구성하는
기기들이다.
*
홈시어터 구성시
홈시어터는 각각의
구성제품를 어떤것을 선택함에 따라서 예산(금액)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무조건 고급형으로 선택한다면
기본적인 예산을 넘어서게 되므로 상세히 알고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서 구입하는 것이 좋을것이다.
먼저 기본적인 사양부터 최고급 사양까지 알아보고
예산을 정하여 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함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 일 것입니다. (여러 제품 사용기 참고) 홈시어터 공간에 맞는 설치/ 선택 방법도 고려해야 할
문제이므로 사전에 위치설정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먼저 영상기기에 대해서 알아보면 일반 TV나 프로젝션,
빔 프로젝터, PDP(벽걸이 TV) 등으로 나누어
진다. 이런
영상기기 역시 너무 무리해서 구입 할 필요성은 없으나
매니아들에게는 상당한 고급제품인
프로젝터/ 벽걸이 TV가
인기가 있으며 많은 분들이 사용 및 사용기를 올리는
것은 사실이다.
고화질 영상재생기기로는 하이파이 스테레오 VTR이나 DVD플레이어가
있으나 선명한 화질의 감상을
원하신다면,VTR보다는 DVD플레이어가
좋다.
DVD플레이어를 보면 국산제품과 최근 많이 들어오는
수입품이 있는데 그 선택 또한 너무도 많은 기기중에서
선택이라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우선 최대한
많은 제품에 사양을 알아보고 선택한 TV제품과 DVD플레이어와
연결로 선명한 화질에 영상을 보실 수가 있으며,프로그레이시브
기능이 있는 DVD기기는 일반 DVD기기 보다는 화질에
차이가 우월하여 그 금액 또한 그에 두배 이상이 나오는
제품들이 많이
있다. 우리나라 제품에서도 프로그레이스브 기능이 있는
제품이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다.
음향기기를 보면 앰프을 선택을 해야한며. 기본적으로
DTS/ 돌비 프로로직 기능이 있는 제품을 보고 그에 따른
여러가지 사양을 보며 이 역시 자신에 취향/ 사양이
맞는 것을 고른다.
스피커 역시 홈 시어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모든 이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5.1채널
스피커의 구성으로는 프런트 스피커, 리어 (서라운드)스피커,
센타 스피커, 그리고 홈시어터 사운드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액티브 서브우퍼로 홈 시어터 스피커 시스템이
이루어 집니다.
홈 시어터 구성 시 음향기기나 영상기기 중 어느 쪽을
먼저 선택하고 다른 쪽을 보완/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스스로 새로운 영상미와 원음에 소리를 발견하며
나만의 취향과 음악수준을 한단계 한단계 맞추어 가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새로이 A/V(홈시어터) 에
입문하시는 분들부터 이미 전문가 수준에 계시는 모든
분들과 함께 많은 정보 교환/ 토론을 하여 홈시어터
분야 발전과 저변 확대에 기여 할 것을 약속합니다.
|
|
2. AV 앰프에 대하여 알아보자
앰프는 Amplifier 를 줄여 말하는
것이고, 입력( DVDP, CDP, TV, 카셋트 데크 등등 )되는
신호를 증폭시켜서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스피커로
전달해 주는 가운데 역할을 하는 기기 이다. 앰프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용도와 기능에 따라
프리 앰프, 파워 앰프, 인티 앰프, AV(리시버)앰프가 있다.
|
* A/V
앰프를 구입하기전
A/V리시버 앰프는
홈시어터의 두뇌이자 힘이라 이야기 합니다. 음향과
관련한 모든 셋팅 사항을
조절하고, 서라운드 음향을 위하여 모든
서라운드 신호을 처리하는 앰프 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출력으로 스피커를 구동하여, 출력에 관한 중요한
일을 많이 하고 있길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좋은 리시버란?..
어떤제품에 리시버가 나에게 어울리며, 과연 좋은
리시버가 무엇이냐는 ... 홈시어터라이프에서
객관적인 부분에서 좋은 앰프란? 가장 최근에 나온
신제품이 좋은 제품이라 할 수가 있다.
즉, 새로운 기능을
받아들이는 경우나 메이커에 따라 제품내부에 새로운
포멧을 입력해주는 기능이며, 이런 기술적인 점은
앞으로 더욱더 많아 질것이고, 디지털 기술이 빠른
속도로 향상됨에 따라 최근에 나온 신제푸을 사용하여
그에 따른 주변기기의 업그레이와 어울리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보통 출력이 높다고
하여 그 제품이 좋다..결코 출력이 높아서 좋은 A/V리시버는
아니다. 기기사양에 나온
출력은 절대로 기대하는
만큼에 효과를 주지 않는 다고 볼 수가 있다. 그러나
구입전에 확인 하여야 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보통 30평에서 35평정도의
아파트 거실을 예을 들어보면 채널당 60W정도면
충분하며, 출력을 크기보다는 각 채널 당 해당하는
앰프의 구성이 더욱 중요하게 생각된다. 디지털
서라운드는 기존 서라운드에 비해 2개의 채널을 기능이
월등하게 높아졌기 때문에 훨씬 실감나는 음장을
만드어 주며, 최근에는 돌비 프로로직ll 기능까지
추가되어 그 성능은 더 생생한 감동을 우리들에게
주기에는 충분할 것입니다. 물론 계속적으로 신기술
개발 출시되는 제품일수록 가격은 상승될 것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돌비프로로직, 돌비 디지털,DTS기능을 기본으로 되는
제품에서 알아보며, 예산을 조금더 투자한다면 돌비
디지털EX, DTSES 등의 6.1 서라운드가 있으면 좋겠나
아직까지 6.1채널은 크게 효용성이 있지는 않다. 또
추가로 스피커를 구입해야하는 투자도 감수해야 되므로
이제 홈 시어터에 입문하시는 분들에게는 오히려
부담이 될 것이다.
5.1채널 앰프
중에서음질이나 그 밖의 기능이 좋은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라 하겠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전문가들이 아닌 내 자신이 사용하는 제품이므로 너무
전문가들 의견에 매달리지 않고 참고하여 신중히
선택한 제품에 대해서 여러사용기를 보며, 직접
접해보는 것이 사실상 구입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①
프리 앰프
제어앰프(Control
Amplifier) 나 제어센타(Control Center) 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프리앰프는 여러 외부기기 들로부터 들어온
외부음의 신호를 선택하여 콘트롤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앰프로 미약하게나마 파워앰프에서
요구하는 정도로 이 신호음을 증폭 시켜서
파워앰프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

[
뮤지컬 피델리티 프리 앰프 A3 CR ]
|
②
파워 앰프
메인(Main
Amplifier) 앰프라고도 하며
프리앰프로부터 출력을 받아 스피커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출력을 증폭시켜 주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파워
앰프는 프리 앰프에 비해서 훨씬 단순하게
생겼지만 음질을 크게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기기이다.
프리앰프와
파워앰프가 나눠져 있지만 함께 써야 만하는
앰프이다. 그리고 하이 파이를 원할 때 프리 앰프와
파워 앰프로 분리된 앰프를 쓰기에 고가인
가격대가 많다.
|

[
뮤지컬 피델리티 파워 앰프 A3 CR ]
|
|
③
인티그래이티드(Integrated)
앰프
|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를 하나의 케이스에 조합한 앰프를
말합니다. 프리메인앰프 또는 줄여서
인티앰프라고도 많이 부르고 있습니다. 프리,파워앰프
보다는 중,저가형이 많다. 하지만, 분리형에 비해
더 나은 것도 많고, 또한 조작에서도 더 편리하게
만들어져 있어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
뮤지컬 피델리티 인티 앰프 M3 ] |
|
④
AV 앰프/리시버
|
일명
종합형이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인티그레이티드형
앰프에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튜너가 포함된 것을
말한다. 그러기에 별도의 튜너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고, 계속적인 기술 개발로 리시버 앰프가 5.1,
6.1, 7.1 채널과 돌비나 DTS 같은 여러 가지 방식을
지원하는 AV 앰프/리시버로 발전하고 있다.
|

[
인켈 앰프/리시버 R-963G ]
|
|
2.
DVD 플레이어
|
DVD
플레이어는 DVD 타이틀이나 DVD음악, 요즘에는 특수
음악 CD 로 SACD 까지 재생을 맡아 하는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초반기에는 가격대가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근래에는 많은 국내외 제조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기에 기기에 따라 여러가지 가격대가
조성되고 있다. DVD플레이어는 돌비디지털/dts
디코더가 내장되어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AV 앰프에 디코더가 내장되어 있다면(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AV 앰프에는 내장되어 있다)
궂이 높은 가격대의 디코더 내장형을 선택할
필요는 없다. 또한 고급 DVD 플레이어에는
프로그래시브 스캔(Progressive Scan) 기능이 있는데,
이것으로는 더 좋은 화질을 즐길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프로그래시브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
DVD플레이어를 구입하기 전
모든 분들이 DVD 플레이어를
구입하실때 기본적으로 CD,VCD,CD-R,CD-RW 등의
디스크를 지원/,MP3 재생이 되는가를 많이 체크하고
구입을 하려고 한다.
당연히 다기능적인 제품이 사용에 용이하고,
재생시 인식되는 속도가 빠른것이 좋다고 생각되며,
최근에는 프로그레이시브 기능의 DVD와 SACD(슈퍼오디오
CD)가 급부상하여 많은 유져들에게 알려지고 있다.
DVD 기기을 사용하더라도 지역코드가 가능한 것이
차후에 다른 비용이 들이 않을것이다. 그러니
코드프리가 리모콘이나 자체적으로 되어서
출고되는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상당한
이익과 편리성에서 좋으니 꼼꼼하게 체크하여
선택할 수 있는 여유도 있여야 할 것이다.
|

[소니
DVD 플레이어 DVP-NS900V]
|
|
4.
다음은 각각의 스피커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
* 홈시어터 5.1스피커 시스템 구입하기 전
스피커 역시 홈
시어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모든 이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5.1채널 스피커의 구성으로는 프런트 스피커, 리어 (서라운드)스피커,
센타 스피커, 그리고 홈시어터
사운드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액티브 서브우퍼로 홈 시어터 스피커
시스템이 이루어 집니다. 보통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이런 종류를 귀찮게 여기며 일반적으로
새틀라이트형 풀셋트 패키지를 구매하시는
분들이
있다.
홈시어터의 대중화을 위해 각 회사에서 여러가지
상품/ 신제품들을 만들어 출시 하고 있어서
홈시어터에 첫걸음 하시는 분들에게는 그 이해와
사용 방향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새틀라이트형 셋트에서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며.
이런 사양이 톨보이형 프런트 스피커로 이루어진
셋트에 비교하면 많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나
공간 절약/ 기본기를 갖추어진 새틀라이형 셋트가
좁은 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그런 좁은 공간에서
그 음장을 정말 적절히 살려주어 그 역활을 충실히
한다고 보아지며 새틀라이형
셋트가 그런 점에서
앞으로도 많이 출시 될 것으로 보아 진다.
톨 보이형
프런트로 이루어진 셋트 구성을 할 때는 많은
고민을 하게 될것이다. 예산/ 사양/ 음질감 등
여러
가지면을 가리지 않을 수가 없다.프런트 스피커는
대부분 뮤지컬 스코어나 약간의 대사전달, 그리고
다양한 음향효과를 재생하며, 센타 스피커와 잘
맞아야 그 음색이 자연스럽고 넓은 무대감을
형성한다고 보아야 한다. 프런트 스피거는 보통
80Cm~108Cm 높이가 가장 많이 활성화 되어서 기준을
잡아 보면
집안 구조와조화/ 출력을 보고 앰프와
매칭을 신중히 맞추어 보거나 다른 유저 사용기를
참고로 하며
전문가와 상담을 통하여 자신에게
맞는 스피커를 찾는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생각됩니다.
리어(서라운드)스피커는 프런트에서 나오는 소리에
추가적인 효과음과 입체음을 전달해 주는 것으로
DVD 영화를 감상 하실 때 앰프에서 지원을받아 그
효과음을 전달하여 생생한 감동의 소리를 한 층 더
높여주며 영화속에 빠지게 만들어 주는 역활을
한다.앰프에 채널 당 출력과 리어 스피커와 매칭을
맞추어 보고 선택을 하며 보통 리어 스피커에
출력은 50W~80W정도면 충분히 그 역활을 할 수가
있습니다.
센타 스프커는
프런트와 리어와는 달리 영화상에서 선명한
대사전달을 해주는 역활을 한다. 정확한 분리도와
같은 정확한 위치에서의 음의 분리 와 프런트
스피커 사이에서 깔끔한 음장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 위치는 시청자의 귀 높이를
두고 시청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할 수가
있으며,
주의 할 점은 프런트와 가깝게 설치하면
소리가 겹쳐 음장이 폭이 좁아지고 너무 넓게
벌어지게 하거나 바깥쪽으로 방향을 주면 음장은
넓어지고 채널의 분리도는 증가하지만 센터와 다른
쪽의 프런트 스피커와 사운드 스테이지에 생겨
허전함을 느끼게 되므로 공간 활용을 잘하여
위치설정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모든 스피커가 그
비중이 각각 큰 역활이 있어서 어느 제품하나 쉬이
넘어 갈수 없으므로 신중한 선택을 하여
결정하셔야 합니다.
홈 시어터 스피커
시스템의 주역이라 불리우는 서브우퍼는 말 그대로
저역을 보강해주는 역활을 한다.
프런트 스피커와
서로 조화를 이루며 저역을 담당할 주파수 대역을
체크 해 보고, 어떠한 새틀라이트
스피커와의
매칭도 될 수 있는지, 시연회 기회가 있으면 들어
보면서 신호대비를 보며 구축하는 앰프의 출력/
조화를 맞추어보면 박진감 넘치는 생동감 넘치는
음장을 홈 시어터 사운드를 만들 수가 있다.현재
전자 상가/ 전자시장에서 유통되는 여러 가지
액티브 서브우퍼를 고루 알아보며 자신의 취향을
중점으로 맞추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그 어떤
명기라 하더라도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면 불필요한
존재일 것이라 생각되며 신중한 판단을 두고
결정하는 것이 홈시어터 구축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입니다.
|
①
센터 스피커
|
센터
스피커의 설치는 TV 위가 기본적이지만, 공간이 안
된다면 TV 아래도 크게 상관은 없다. 센터 스피커의
역할은 영화에서는 대사를, 음악 보컬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꼭 그것만을
전달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의 음악이나
효과음도 포함하여 전달하게 된다. 내부
생김새는 작은 우퍼 둘 사이에
트위터가 끼어 있는 납작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
[
패러다임 센터 CC-270 ]
|
|
|
|
|
②
메인/프런트 스피커
|
메인
또는 프론트 스피커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영상을 중심으로 양 사이드에 위치한다. 기본적인
역할은
주로 배경음악과 전면에서 좌, 우로 연결되는
효과음을 담당하고 있으며, 센터나 리어
스피커들보다 크기가 큰 것이 사용되는데, 이는
보다 넓은 음역을 재생할 수 있고 2채널 재생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다른
스피커들보다 꼭 커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

[ JBL
프론트(메인) 스피커 2005]
|
|
③
리어 스피커
|
리어
또는 서라운드 스피커라고도 하는데, 일반
시청자를 중심으로 하여 서라운드 효과를
담당하기에 시청자를 중심으로 뒤쪽으로 설치하며,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 돌비
디지털이나 DTS는 서라운드가 스테레오에서 돌비
프로로직 보다는 훨씬 실감나는 효과음을 들려
주기 위해 사용 되고 있다.
|

[
트라이 앵글 리어 스피커 Ecran TITUSxs ]
|
|
|
|
④
서브우퍼
|
서브
우퍼의 활용성은 모든 저역을 담당하는 스피커로 다른 스피커들에
비해 설치 위치는 제한을 두지 않아도 된다. 그
이유는 저음은 다른 중,고음에 비해 지향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우퍼의 음향은 소리라기보다는 울림에 가까운 느낌을 갖게 된다.
|

[
야마하 우퍼 스피커 SW-320 ]
|
|
4.
디스플레이 기기
|
요즘
일반 가정의 형태가 조금씩 변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TV이다. 홈시어터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이제는 더 큰 화면 더 좋은 화질로 방송이나
영화등을 보기 위해 TV는 점점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첫째로 일반 TV 로써 우리가 지금 집에서 쓰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TV로 직시형
디스플레이 기기라고도 하고, 가장 널리 쓰이는
별칭은 브라운관 TV이다.
둘째로 디지털 프로젝션 TV로써 CRT 또는 액정 패널을 이용해
스크린 뒤에서 투사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일명 리어 프로젝션(Rear
Projection)이라고도 한다.
셋째로 PDP TV로써 아직은 보편화 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계속 주목 되어지고 있는 TV이다. 플라즈마라는 형광물질을
사용하기에 플라즈마 TV 또는 약자로 PDP TV로 많이
불려진다.
넷째로 TV는 아니지만 큰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프로젝터라는 기기가 있다. 예전에는 사무실이나
회의실에서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가정에서도 쓰이고 있다.
|
|
5.
기타 액세서리
|
|
①
오디오 케이블
오디오 케이블은 예전에는
전파상 전깃줄로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웬만한 자동차 한 대 값을 호가하는 최고급
케이블까지 참으로 그 종류와 제조
방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있고, 음색의
차이가 조금씩 있다. 케이블의 제작
과정에서 불순물인 산소가 함유된다. 이
산소를 얼마나 제거를 하는냐에 따라
음질의 차이가 생긴다. 이런한 산소를
제거하여 생산되는 케이블을 무산소
케이블이라고 한다.
②광케이블(음성)
광케이블은
디지털 음성신호를 전달해 주는 케이블이며,
돌비 디지털이나, 출력을 원한다면 반드시
연결을 해야 하는 케이블이다.
③동축
케이블(음성)
동축 케이블은 광케이블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음성을 전송하며, 돌비디지털이나
dts 출력을 원한다면 반드시 연결해야 하는
케이블이다.
④오디오
케이블(음성)
오디오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이나
광케이블과 같이 디지털 음성 전송 방식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으로 음성을 전송하는
방법으로 예전에는 단지 두개의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슈퍼 오디오 씨디 (SACD)라는 개념으로 CD 가
제작 되어서 센터 1단자, 프론트 2단자, 리어
2단자, 우퍼 1단자 총 6개의 단자로 각각의
음성을 분리해서 전송한다.
⑤콤포넌트 케이블(영상)
콤포넌트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빨간색,
파란색, 녹색, 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신호는 휘도신호(Y), 색차신호(Cr),
색차신호(Cb)를 각각 분리해서 전송한다.
그러기에 영상 케이블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는데, 콤포넌트 입력 단자는 고가의
제품많이 장착이 되어 있다.
 |
 |
 |
Oval One
Component |
YUV63 |
YUVAG27 |
⑥
S-비디오 케이블(영상)
일반적인
케이블과의 모양새가 약간 다르다. S-비디오
케이블은 동그란 모양의 커넥터 안에 4개의
핀이 들어가 있는 형태인데, 휘도 신호와
색차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콤포지트 케이블 보다는 높은 해상도와 색
표현력을 가진다.

|

|

|
Oval One Super
|
SV2
|
SV - 1
|
|
|
⑦ 스파이크
일반적으로 메인/프론트 스피커 바닥에 장착하는
것으로 써 프론트에서 바닥으로 흡수되는 음향를
막아준다.

|

|
C660A G
|
C880A G
|

|

|
C G4 G
|
CPU 660
|
|
⑧방진/방음
우퍼에서 나오는 저음인 경우 진동이 심한 경우에는
바닥이 울립니다. 그것을 막아주기위해 예전에는
대리석 같은 것을 바닥에 대주었지만, 지금은 기술의
발달로 방진매트라는 것이 나와 있어, 서브우퍼,
프론트의 울림을 스피커 소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막아 준다.

|

|
|
모델 : SM -
230A
SIZE : 250x350x48mm
|
모델 : SM -
450A
SIZE : 400x500x48mm
|
모델 : SM -
570A
SIZE : 500x700x48mm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