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완료!!! 정보
테스트 완료!!!
본문
관심가져 주시고 테스트 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추천
0
0
댓글 32개

1. http://a1traveltour.com/ <-- 8 sec
2. http://www.stlkorean.com/ <-- 3.5 sec
3. http://www.jsbuilder.net <-- 3.3 sec
저의 집에선
국내에서 가장 느린 인터넷을 사용중입니다...
( 일부러 사용중인데, 기사가 와서 바꿔달라고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
2. http://www.stlkorean.com/ <-- 3.5 sec
3. http://www.jsbuilder.net <-- 3.3 sec
저의 집에선
국내에서 가장 느린 인터넷을 사용중입니다...
( 일부러 사용중인데, 기사가 와서 바꿔달라고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

테스트 감사합니다. 국내와 비교해서 많이 느린편이죠?

아니요....^-^
저의 집이 가장 느린 대역폭을 사용중이라,
국내 타 지역에선 1 번을 제외하고 빠르다고 느낄것 같아요...
저의 집이 가장 느린 대역폭을 사용중이라,
국내 타 지역에선 1 번을 제외하고 빠르다고 느낄것 같아요...

자료양이나 멀로 봐서나 3번요

탑스쿨님 친히 테스트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시죠?
건강하시죠?

네 ㅎㅎ 배는 굶어도 건강은 하려구요 ㅋㅋ

비교하기가 애매합니다.
1번째는 별도창이 뜨네요...
1번째는 별도창이 뜨네요...

1번 사이트는 서버에서 계정나눔하는곳이라 다른분이 사용중인 사이트 입니다....^^
여행사 사이트인데 팝업창이 두개나 뜨는군요....ㅠㅠ
여행사 사이트인데 팝업창이 두개나 뜨는군요....ㅠㅠ

1번 접속시 2.51 sec, 완료시 약 7.50 sec
2번 접속시 560 msec, 완료시 약 2.30 sec
3번 접속시 1.30 sec, 완료시 약 6.00 sec
대체적으로 접속이 빠른 편들이라 그렇게 느린 느낌은 들지 않습니다 ㅎㅎ 컴포넌트를 받아오는데에는 한국보다야 아주 조금 더 걸렸지만 불편한 정도는 아닌거 같습니다..^^
2번 접속시 560 msec, 완료시 약 2.30 sec
3번 접속시 1.30 sec, 완료시 약 6.00 sec
대체적으로 접속이 빠른 편들이라 그렇게 느린 느낌은 들지 않습니다 ㅎㅎ 컴포넌트를 받아오는데에는 한국보다야 아주 조금 더 걸렸지만 불편한 정도는 아닌거 같습니다..^^

테스트 감사합니다.
3번은 LA IDC에 상주해 있는 서버이고
1번과 2번 서버는 집에서 사용하는 서버 입니다.
결론은 속도가 IDC 상주 서버와 홈 상주 서버가 별차이가 없다는 것인데....ㅠㅠ
이거 그냥 홈서버 사용해도 무방 할까요?
3번은 LA IDC에 상주해 있는 서버이고
1번과 2번 서버는 집에서 사용하는 서버 입니다.
결론은 속도가 IDC 상주 서버와 홈 상주 서버가 별차이가 없다는 것인데....ㅠㅠ
이거 그냥 홈서버 사용해도 무방 할까요?

근데 윗님들 말씀처럼 3개의 서버를 단순 시간으로 판단해서 확인하시면... 안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제가 접속이랑 완료를 따로 올린 이유가 사이트별 내용물 차이가 너무 천차만별 이었기 때문이라... 서버별 통신시간을 체크하시려면 같은 페이지를 한번 띄워보시는게 어떨까 생각이 됩니다...^^
제가 접속이랑 완료를 따로 올린 이유가 사이트별 내용물 차이가 너무 천차만별 이었기 때문이라... 서버별 통신시간을 체크하시려면 같은 페이지를 한번 띄워보시는게 어떨까 생각이 됩니다...^^
제가 집에가면 핑한번 때려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지연시간 측정은 로딩속도가 중요한게 아니라 핑 테스트로해야되는거니...
웹 사이트 로딩은 서버 부하나 최적화 데이터량 등에 따라 훨씬 더 큰차이가 나니 이렇게 테스트해서는 부정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웹 사이트 로딩은 서버 부하나 최적화 데이터량 등에 따라 훨씬 더 큰차이가 나니 이렇게 테스트해서는 부정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ping 은 차단된 상태이고(요즘 그렇게 해야되어서요)
trace 해보았더니 좀 돌더라구요..
trace 해보았더니 좀 돌더라구요..
그렇군요. 검색해보니 보안문제 때문이라는건 알았는데, 또 구글이나 워드프레스닷컴 같은 곳은 차단이 안되어있더군요.

아시다싶이
하는곳은 하고, 않하는곳은 않하는 ... ㅋ으
하는곳은 하고, 않하는곳은 않하는 ... ㅋ으

속도는
2<=3<=1 번순으로 빠르네요
2번이 제일 빠릅니다.
2<=3<=1 번순으로 빠르네요
2번이 제일 빠릅니다.

테스트 감사 합니다.
3번이 제일빠르네요 (여러가지 이유로)

테스트 감사 합니다.
4번!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음..비슷비슷안데..
감을 어케 잡나요..ㅠㅠ
감을 어케 잡나요..ㅠㅠ

테스트 감사 합니다.

2,3번에 비해 1번이 느린 정도...만 느껴집니다. 체감 속도로 ^^;

테스트 감사 합니다.

각 서버에 동일한 크기의 초대형 이미지 파일을 올려놓고 해당 이미지가 로딩되는 시간을 측정하게 해보시는 것도 단순무식하게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제가 출장중이라 서버에 접근이 어렵네요....ㅠㅠ

1,2번은 비슷한데, 3번은 엄청 느린데요?

테스트 감사 합니다.

3번 2번 1번 순으로 빠르네요..
좀 오래전에 중국쪽 접속속도 테스트 해보니까 인터넷 통신사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더라구요
어떤 백본망을 쓰느냐에 따라서 달라지는것 같은데
그 당시 테스트 해본결과
1. LG U+ : 해외접속 빠른편
2. KT : 그냥저냥 무난한 수준이지만 약간 느림
3. 브로드밴드 : 거의 달팽이 수준이거나 아예 안뜸 (얘들이 예전 하나로 ㅠㅠ)
좀 오래전에 중국쪽 접속속도 테스트 해보니까 인터넷 통신사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더라구요
어떤 백본망을 쓰느냐에 따라서 달라지는것 같은데
그 당시 테스트 해본결과
1. LG U+ : 해외접속 빠른편
2. KT : 그냥저냥 무난한 수준이지만 약간 느림
3. 브로드밴드 : 거의 달팽이 수준이거나 아예 안뜸 (얘들이 예전 하나로 ㅠㅠ)

테스트 감사 합니다.
와..다들 속도 테스트를 어떻게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