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대해 개념이 잘 안잡혔는데,,이런거네요.. > 이십년전오늘

이십년전오늘

20년전의 흑역사를 꺼내보자 ㅋ

블로그에 대해 개념이 잘 안잡혔는데,,이런거네요.. 정보

기타 블로그에 대해 개념이 잘 안잡혔는데,,이런거네요..

본문

phpschool 에 갔다가,퍼왔습니다..(토크박스구경만 함 -_-;;)


블로그와 일반 게시판의 차이점은? 조회수:134

제가 제XX드 블로그 스킨을 만들었는데
껍데기는 네X버의 블로그를 빼껴서 거의 흡사 합니다..
달력 기능도 있고요...
만드는데에는 5일도 안걸렸습니다...
블로그에는 XML과 traceback 이 있다는데 뭔지 잘 모르겠네요...
일반 게시판과 블로그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해 주세요... 

 
 익명성 : 블로그만 알면 되겠네요.
자기 개인 공간.. ^^;
개인의 생각이나 사상을 다수에게 알리고
서로서로 공유 하는거... 정도. .^^;;

흠. .-_-;; 난 왜이리 설명을 몬할까.. 01/26 21:22:52
221.167.♡.250
 
 -_- : 트랙백은 원격 댓글을 쓰고 이를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초기 블로그에는 없던 새로운 기능입니다.
트랙백은 댓글(reply, 답글), 덧글(comment, talkback 등) 기능의 확장판이라고 보면 됩니다.
기존의 답글과 덧글은 해당 게시판에 독자가 게시물을 읽고 난 뒤 답변이나 감상문을 적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덧글은 해당 게시물 밑에만 남겨집니다.
트랙백은 이보다 좀더 개선된 기능으로 다른 곳에 댓글을 남기는 기능입니다.
즉 해당 게시물에 대해 댓글이나 덧글을 달되 다른 사이트에서 원격으로 덧글을 다는 행위입니다.
이전에는 A 사이트의 '장터' 게시판 '1번' 게시물에 대해 덧글을 남길 경우 이 덧글을 보기 위해서는 A 사이트 장터 게시판 1번 게시물을 읽어봐야만 덧글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덧글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A 사이트의 장터 게시판 1번 게시물에 대한 덧글을 B 사이트의 게시판에서 볼 수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트랙백이라는 기능은 왜 만든 것이며 그 의미는 무엇일까요?
랙백을 만든 이유와 그 의미는 '내가 쓴 글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기 위함'입니다.
트랙백은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죠.
트랙백은 다른 사람이 쓴 블로그 문서에 자신이 원격 댓글을 달았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트랙백으로 작성한 글은 작성자 블로그의 새글이 됩니다.

예를 들어 A 사이트의 블로거가 '한글날에 대하여'라는 글을 올렸을 경우 B 사이트의 블로거는 해당 글에 대한 의견을 자신의 블로그 사이트에 트랙백 형태로 올릴 수 있습니다.

[트랙백 과정]
1. A가 자신의 블로그에 '한글날'에 대한 글을 올렸다.
2. B가 A의 블로그에 올라간 글을 보고 자신의 블로그에 '한글날' 글에 대한 소감을 적어 글을 올렸다.
3. B는 A의 블로그에 트랙백 핑(TrackBack Ping)을 보내 자신의 블로그에 A가 쓴 '한글'에 대하여 코멘트를 달았음을 알려준다.
4. A는 자기가 쓴 '한글날' 게시물에 달린 트랙백을 통해 B가 B의 블로그에 '한글날'과 관련된 글을 올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핑은 작은 문장을 뜻하며 트래픽 핑은 트랙백을 알려주는 작은 문장입니다.

트랙백을 건 다음에는 트랙백 핑(TrackBack Ping)이라고 부르는 작은 메시지를 상대편에게 보내줍니다.
물론 이는 프로그램이 알아서 자동으로 보내줍니다.
트랙백을 건 사람은 원 게시물 작성자에게 트랙백 핑을 보내 자신의 사이트에 관련 코멘트를 달았다는 사실을 알리는 겁니다.

핑은 인터넷 도구 중 하나로 MS윈도에 프로그램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핑(ping = Packet Internet Groper)이라고 하는 것은 초기 인터넷부터 사용된 도구 중 하나로 호스터 컴퓨터에 변경 요구를 보내고 응답이 오는 것을 검사해 목적지까지의 도달성을 검사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를 입력했을 때 접속이 잘 안되는 경우 ping 테스트를 통해 해당 호스트가 실제로 운영 중인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응답이 없다면 호스트 운영이 멈추었거나 해당 호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겁니다.
또한 현재 운영중인 호스트일 경우에는 해당 호스트까지 자료를 송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측정되므로 선로 속도 측정에도 사용됩니다.
핑은 윈도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므로 도스창에서 ping이라고 입력하면 ping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핑은 별도의 도구로만 작동하는 것은 아니고 인터넷의 주요 도구에서 지정된 주소에 재대로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는지 시험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합니다.
전자우편(Email)의 경우에도 편지를 보내기 전에 ping을 보내 해당 주소록의 전자우편 주소로 편지 배달이 가능한지 시험합니다.

블로그 프로그램에서도 트랙백을 사용할 때 핑 형태로 동작하는 트랙백 핑을 주고받음으로써 트랙백을 거는 겁니다.

트랙백은 두 블로그 사이의 연락 수단이 됩니다.

이런 트랙백 형태로 글을 올리면 기존의 댓글보다 편리한 점이 많습니다.
트랙백은 두 블로그 사이트 사이에 연락을 취하는 수단이 됩니다.
트랙백을 통해 A는 B사이트의 글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표명할 수 있고 B는 A라는 사람이 자신이 쓴 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로보드와 같은 기존의 게시판은 댓글, 덧글 기능이 있지만 몇 가지 한계를 가집니다.

[기존 댓글, 덧글의 단점]
1. 긴 글을 작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2. 주인장의 기능 제한으로 대개는 HTML 태그 사용이 제한됩니다. 이 때문에 텍스트로만 된 글을 올려야 합니다.
3. 자신의 홈페이지에도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는 해당 게시물에 덧글을 달고 자신의 홈페이지에도 기록해야 하는 이중 수고를 해야 합니다.
4. 자신이 작성한 덧글에 대한 추가 반응을 얻기가 어렵다. 덧글에 대한 덧글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어렵습니다.
5. 작성자의 홈페이지 방문을 유도하기가 어렵습니다.
  • 복사

댓글 전체

아파치의 httpd.conf 파일의 VirtualHost 설정을 하십시오..
VirtualHost 설정을 하시면
www.xxx.com/ID 뿐만 아니라 ID.xxx.com 같은 섭도메인도 가능합니다.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VirtualHost *:80>
    ServerAdmin www.xxx.com/ID] (섭도메인)
ErrorLog /home/ID/logs/ID.error.log (에러로그가 저장될 경로 : 생략가능)
CustomLog /home/ID/logs/ID.custom.log (일반방문로그가 저장될 경로 : 생략가능)
</VirtualHost>
www.xxx.com/~ID  를  www.xxx.com/ID 로 해보진 않았지만.....
http://www.nzeo.com/bbs/zboard.php?id=p_server&page=2&sn1=&divpage=1&category=2&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1

http://www.oops.org/?t=lecture&sb=apache&n=2

위에 두 사이트를 참고 하면 답이 나올것 같은데요......못보던 거라 저두 신기해서
찾아 봤습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서버가 없어서 적용은 해보지 못했습니다.....
성공 하시길 빌어 드리져......
트랙백 쪽으로 보강하려고 생각중이며, 다만 아파치 설정과 관련해서 경험있는분의 조언을 듣고 싶네요. www.xxx.com/ID 이렇게 하는방법을 알아보는중인데 아시는분 없나요. 몇몇 선배 개발자들에게 물어 보았는데 답을 얻진 못했네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